산업 맞춤형 뷰티산업 차세대 리더를 양성합니다.
일반대학원 뷰티산업학과 석사 및 박사과정
산업 맞춤형 뷰티산업 차세대 리더 양성
K-뷰티의 글로벌 확산과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기술 융합에 대응하여 화장품 산업, 뷰티테크, 메디컬 뷰티을 아우르는 전문성과 연구역량을 갖춘 인재를 양성합니다.
학과문의
- 02)944-5715 주임교수
학과홈페이지 바로가기
산업 맞춤형 석·박사 인재 양성
화장품 산업, 뷰티테크·아트, 메디컬·실버 뷰티 분야에서의 전문성과 창의성을 겸비한 차세대 리더 양성
융합연구와 실무연계
AI·빅데이터, AR/VR기반의 뷰티테크 연구, 글로벌 브랜드 전략, 메티컬·실버뷰티케어 등 산업현장과 밀착된 교육 제공
국내최초 사이버대 일반대학원 박사과정 개설
온라인·블렌디드 러닝을 통한 유연한 학습 환경과 차별화된 교육 모델 제시
산학협력 및 글로벌 네트워크
국내외 기업·연구소·교육기관과의 연계를 통한 인턴십, 공통연구, 해외연수 프로그램 확대
뷰티산업학과 교육과정
| 구분 | 1학기 | 2학기 | |
|---|---|---|---|
| 선수과목 |
|
|
|
| 전공 선택 |
전공공통 |
|
|
| 화장품산업트랙 |
|
|
|
| 뷰티테크·아트트랙 |
|
|
|
| 메디컬&실버뷰티트랙 |
|
|
|
뷰티산업학과 전공 로드맵
- 우리 학과의 학습 로드맵 ① 공통 교과목을 기반으로 한 학문적 기초, ② 관심 분야에 따라 선택하는 특화트랙(화장품산업·뷰티테크&아트·메티컬&실버뷰티)으로 구성됩니다. ③ 관심 전공 분야에 따라 선택하는 전공 선택으로 구분 됩니다.
- 학생들은 자신의 진로와 연구 목표에 따라 1개 또는 2개 트랙을 자유롭게 선택·융합하여 학습할 수 있습니다.
| 화장품 산업트랙 | 뷰티테크·아트트랙 | 메디컬&실버뷰티트랙 | |
|---|---|---|---|
| 선수과목 | 미용학개론 / 화장품학 / 해부생리학 / 미용경영 | ||
| 공통 교과목 | 화장품학특론 / 글로벌화장품소비시장 / 퍼스널리티이미지특론 / 뷰티통계학 연구 / 뷰티헬스테라피프로그램 / 미용위생및보건세미나 / 뷰티산업의전략및사례연구 | ||
| 트랙별 전공선택 |
|
|
|
| 졸업 후 진로 | 대학 연구소·교육기관 강의 및 연구직 | ||
|---|---|---|---|
| 화장품 R&D 및 글로벌 마케팅 전문가 | 뷰티테크 융합 연구자 및 창업가 | 메디컬 실버 뷰티케어 전문가 | |
| 직업 진출 분야 | 국제 뷰티 전시·학술·산업현장 | ||
| 화장품 기업 및 연구소 |
뷰티테크 스타트업 및 디지털 플랫폼 기업 |
메디컬 뷰티센터 실버케어 전문기관 |
|
선수과목
| 교과목명 | 교과목 소개 |
|---|---|
| 미용학개론 (Introduction to Cosmetology) |
피부미용, 헤어미용, 메이크업 및 네일 미용, 미용경영 등을 포함한 미용 전 영역별 기본 개념과 현장실무를 파악하여 미용인으로서의 입문할 수 있는 자질을 함양한다. 본 교과목은 미용학의 개요, 미용의 역사, 전공별 미용의 기본 개념에 대한 이해 및 기본으로 다루어야할 이론과 실기 영역에 대한 학습, 미용인으로서의 자세 및 직무 등을 학습한다. 이를 통해 미용영역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와 더불어 미용인으로서의 자세와 직무를 파악한다. |
| 해부생리학 (Anatomy and Physiology) |
해부생리학은 보건학을 공부하는데 중요한 기초의학과목이다. 학습자는 세포ㆍ조직ㆍ기관ㆍ개체에 이르기까지 그 구성과 생물학적 성상을 이해하여야 한다. 특히 각 기관의 구조와 기능을 이해하는데 주력하며, 각 기관의 생리 화학적 현상을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. |
| 뷰티헬스테라피프로그램 (Beauty Health Therapeutic Program) |
뷰티와 헬스, 테라피의 융합적 관점을 기반으로 심신의 균형과 전인적 웰니스를 추구하는 뷰티케어 융합프로그램을 연구하고 설계한다. |
| 화장품학 (Cosmetic Science) |
화장품학은 화장품의 역사부터 화장품을 구성하는 성분과 제조, 종류와 피부에 미치는 기능에 관한 내용으로 자연과학에 해당하는 과목이며, 화장품 분류와 기능, 모발용화장품, 향수의 역사와 특성등을 학습할수 있다. |
전공공통
| 교과목명 | 교과목 소개 |
|---|---|
| 화장품학특론 (Advanced Cosmetics) |
화장품을 중심으로 화장품정의, 피부와 자외선, 모발, 원료, 안전성, 안정성 등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기초화장품, 색조화장품, 모발화장품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학습한다. |
| 뷰티통계학연구 (Study on Beauty Statistics) |
뷰티산업 연구에 필요한 통계적 분석 능력을 함양하기 위한 데이터 기반 연구 중심의 교과목이다. 각 연구영역에서의 정량적 데이터를 수집, 분석, 해석하여 과학적 근거를 도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. 또한 SPSS, Excel등 통계분석도구의 활용법을 실습한다. |
| 퍼스널리티이미지특론 (Image Study of Personality) |
개인의 특성, 외모, 성격, 직업, 언어습관 등을 분석하여 최상의 이미지를 찾아내어 극대화시키는 방법을 연구한다. |
| 뷰티헬스테라피프로그램 (Beauty Health Therapeutic Program) |
뷰티와 헬스, 테라피의 융합적 관점을 기반으로 심신의 균형과 전인적 웰니스를 추구하는 뷰티케어 융합프로그램을 연구하고 설계한다. |
화장품 산업트랙
| 교과목명 | 교과목 소개 |
|---|---|
| 뷰티코스메틱심리연구 (Study of Beauty and Cosmetic Psychology) |
뷰티 인식과 화장 행동에 내재된 심리적 매커니즘을 학문적으로 탐구한다. 현대 뷰티산업과 인간심리의 상호작용을 이해하고 응용할 수 있는 연구의 기반을 마련한다. |
| 화장품제형학특론 (Advanced Cosmetic Formulation Science) |
화장품 제형의 과학적 원리와 기능성 소재의 물리, 화학적 특성을 심층적으로 탐구하며, 제형 기술을 연구한다.최신 개발 사례를 분석하여, 미래 화장품 산업에 적용 가능한 연구 기반을 구축한다. |
| 고급기능성화장품성분학 및 기능특론 (Advanced Studies in Functional Cosmetic Ingredients and Efficacy) |
기능성화장품의 핵심 성분과 그 효능 메커니즘을 과학적으로 분석하고, 고기능성 화장품 개발을 위한 최신 연구 동향을 탐구한다. 산업현장과 학문연구를 연결하는 응용적 전문지식을 함양한다. |
| 화장품제품개발특론 (Advanced Cosmetic Product Development) |
화장품 개발에 필요한 기본지식과 소재개발프로세스, 연구계획프로세스, 마케팅 등 다양한 요소를 배우고 실전에 응용해 본다. |
| 뷰티코스메틱브랜드연구 (Research on Beauty and Cosmetic Brands) |
뷰티, 코스메틱산업의 미학적, 과학적 발전에 기여한 디자이너와 브랜드의 아이덴티티 제품의 특징을 살펴봄으로써 산업의 발자취를 고찰하고 심화된 뷰티 지식을 함양한다. |
뷰티테크·아트트랙
| 교과목명 | 교과목 소개 |
|---|---|
| 메이크업트렌드세미나 (Make up Trend Seminar) |
글로벌 뷰티 산업의 메이크업 트렌드 분석과 예측을 중심으로 시대별 메이크업의 사회문화적 의미, 미디어와 테크놀로지의 영향, 그리고 k-뷰티의 글로벌화 전략을 연구한다. |
| 디지털산업과뷰티 (Degital Industry and Beauty) |
변화하는 디지털 산업에서의 뷰티산업 영역을 분석한다. 이를 통해 뷰티산업에서의 디지털 매체의 활용을 확대하는 방법을 연구한다. |
| 뷰티산업연구방법론 (Research on Methodology of Beauty Industry) |
뷰티산업과 연계된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이뤄지는 연구방법을 소개하고, 논문을 준비하는 학생들이 각자가 가진 관심분야에서 필요한 적합한 분석방법을 선택, 연구방법의 기초를 다질 수 있게끔 한다. |
| VR기반 뷰티디자인연구 (Research on Virtual Reality Beauty Design) |
VR기반의 뷰티산업을 이해하고 분석한다. 가상현실에서의 뷰티 매체를 체험하고 발전방향을 연구한다. |
메디컬&실버뷰티트랙
| 교과목명 | 교과목 소개 |
|---|---|
| 실버뷰티특론 (Advanced Studies in Silber Beauty) |
고령화 사회에서의 뷰티케어와 웰에이징(Well-Aging)에 대한 학문적 접근을 통해, 실버세대를 위한 맞춤형 뷰티산업의 방향성을 연구한다. |
| 메디컬모발케어특론 (Advanced Medical Scalp&Hair Care) |
의학적 관점에서 두피와 모발 건강관리를 심화적으로 다루는 과목으로, 두피 생리학, 탈모원인분석, 모발손상메커니즘, 트리콜로지, 의학적치료 및 융복합케어 솔루션을 중심으로 학습한다. |
| 피부노화학특론 (Advanced Skin Aging) |
피부구조 및 기능이해를 통해 피부노화현상 심화학습을 진행하고 노화개선 및 관리에 대한 이해를 증진한다. |
| 뷰티사회복지학 (Beauty Social Welfare) |
뷰티가 사회복지에 도움이 되는 방향을 연구하고, 개선방향와 인식의 변화, 사회복지프로그램의 개발 등 뷰티 분야의 사회복지의 특징을 이해하고 연구한다. |




